본문 바로가기
경제

비트코인 분산 거버넌스 모델

by 경제의 민족 2024. 3. 16.

비트코인은 분산 거버넌스 모델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이 모델의 특징은 다양한 참여자들이 도와 시스템을 운영하고 결정하기 때문에 중앙 집권적인 통제가 이뤄지지 않습니다.

목차

1. 비트코인 분산 거버넌스 모델

2. 개발자 및 커뮤니티의 참여

3. 채굴자와 보상 체계

4. 네트워크 구성원의 자율성

5. 보안에 대한 영향

 

비트코인 분산 거버넌스 모델

비트코인은 작업 증명이라는 합의 메커니즘을 사용해서 블록 생성을 검증합니다. 합의 메커니즘은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여러 노드들이 흩어진 방식으로 합의를 이끌어내는 데 사용됩니다.

 

합의 메커니즘의 첫 번째로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신규블록을 만들어내기 위해 채굴자들이 작업 증명을 진행합니다. 작업증명은 SHA-256와 같은 암호학적으로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해시 함수를 사용합니다. 목표의 값 이하의 해시를 찾기 위해서 채굴자들은 블록 헤더 정보와 '논스'라는 무작위 숫자를 합해서 해시를 계산하고 이 과정을 반복합니다. 채굴자가 해시를 발견하면 해당 블록이 네트워크에 추가됩니다. 두 번째로 비트코인 네트워크는 신규 블록이 보통 10분에 1번씩 만들어지도록 난이도 조절을 하는데 이것이 네트워크 전반의 해시 속도가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고 이전 시간에 발생한 블록 생성 속도들을 기반으로 해서 조절됩니다. 세 번째로 비트코인에서 유효한 블록체인은 가장 긴 유효한 체인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합의를 달성하기 위해서 채굴자들이 가장 긴 체인을 만들고자 합니다. 네 번째로 채굴자들이 신규블록을 만들어내서 블록 보상과 트랜잭션 수수료를 받습니다. 이 보상을 통해 네트워크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고 채굴자들이 합의 참여하는 동기를 만들어줍니다.

 

개발자 및 커뮤니티의 참여

비트코인은 오픈 소스 프로젝트로 여러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이 특징은 비트코인 분산 거버넌스 모델과 가깝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우선 비트코인 오픈 소스 특징은 투명성을 보장하여 어느 누구나 비트코인 코드를 보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신뢰도와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어느 누구나 참여가능한 개방적인 환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누구나 개선 제안을 제출할 수 있고 변경 사항을 제시하여 커뮤니티 기반으로 협업을 장려합니다. 세 번째는 많은 개발자 및 커뮤니티의 참여로 발전해 왔고, 이 노력이 비트코인의 발전을 가져다주었습니다. 네 번째는 비트코인이 중앙 집권적인 기관 등의 통제를 받지 않고 사용자와 개발자의 자율성 안에서 결정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섯 번째는 오픈소스 특성으로 비트코인의 공개 검토와 투명도를 통해 보안성을 높이고 사용자들에게 신뢰를 줄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오픈소스 프로젝트이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고 커뮤니티 참여를 통해 신규 기능 등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합니다.

비트코인 분산 거버넌스 모델 비트코인 분산 거버넌스 모델 비트코인 분산 거버넌스 모델
비트코인 분산 거버넌스 모델

채굴자와 보상 체계

비트코인 분산 거버넌스 모델에서 채굴자들은 신규 트랜잭션을 블록에 넣어 새로운 블록을 만들어냅니다. 블록헤더의 해시를 계산하고 작업증명을 통해 블록을 검증합니다. 또한 채굴자는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만들어지는 모든 트랜잭션을 처리합니다. 이 트랜잭션을 검증하고 블록에 넣어 블록체인에 기록합니다. 작업증명을 통해서 채굴자들은 좋지 않은 행동을 방지하고 네트워크 안전성을 유지하는데 이바지합니다. 그리고 네트워크의 분산된 구조 유지를 보장하는데 채굴자들이 필수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채굴자들이 새로운 블록을 만들 경우 그 블록에 포함된 트랜잭션 수수료를 받습니다. 이 보상체계는 채굴자에게 새로운 자산 획득 기회를 제공하고 네트워크에 기여하는 동기를 만들어냅니다.

 

네트워크 구성원의 자율성

비트코인 네트워크는 분산된 노드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각의 노드들은 네트워크 전체 복제본을 유지하고 거래 검증하고 그 블록을 전파함으로써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분산된 노드들이 중앙 집중식 공격에 대해서 견뎌내는 힘을 발휘합니다. 네트워크 노드들이 분산되어 있어서 각각 노드가 고장 나거나 공격이 발생하여 전체 시스템이 기능을 잃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분산된 노드는 거래의 검증, 블록체인 유지를 맡고 있기 때문에 네트워크 신뢰성을 책임집니다.

 

개별 사용자들과 노드가 자율적인 행동을 통해 네트워크와 시스템을 유지합니다. 여러 자율성이 존재하는데 그중 첫 번째는 거래의 자율성입니다. 개별 사용자들이 자신의 비트코인 지갑을 가지고 거래를 만들 수 있습니다. 사용자들이 자신의 자산을 보호, 관리할 수 있고 네트워크 상에서 거래를 할 때 일정량의 자율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두 번째는 노드 운영의 자율성입니다. 비트코인 네트워크 노드 운영하고 관리하는 사람들은 본인 노드를 설정하고 유지보수하면서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거래를 검증하고 블록을 전하여 널리 퍼뜨립니다. 세 번째는 개방적인 커뮤니티 환경을 가지고 있어 개별 사용자들과 노드 운영하고 관리하는 사람들이 자유롭게 커뮤니티에 참여하여 개선 의견을 낼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 분산 거버넌스 모델 비트코인 분산 거버넌스 모델 비트코인 분산 거버넌스 모델
비트코인 분산 거버넌스 모델

보안에 대한 영향

거버넌스 모델이 네트워크 안전성과 보안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끼치기 때문에 올바른 거버넌스 모델은 네트워크를 안전하게 유지하고 공격이 발생하였을 때 대응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분산된 구조의 장점으로는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높이고 각 노드가 독립적으로 운영되어 한 지점의 고장이 시스템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그리고 분산된 노드는 한 곳을 공격하여 네트워크가 마비되는 것을 막습니다. 또한 노드들 간의 합의를 통해서 블록을 검증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무결성을 유지합니다.

비트코인 분산 거버넌스 모델
비트코인 분산 거버넌스 모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