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계좌는 은퇴까지 사용할 수 있는 계좌입니다. 제도가 개선이 되어 ISA계좌를 가지고 쭉 유지하실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목돈을 만들고 굴릴 때 아주 최적화된 계좌입니다.
ISA계좌 활용방법 4가지에 대하여 알려드리면서, 세액공제 혜택과 절세할 수 있는 방법까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 ISA계좌 갱신가능
- 연금저축 이전 기능
- ISA계좌 재개설 기능
- ISA계좌 절세 최대화 하는 방법
1. ISA계좌 갱신가능
첫 번째로, ISA계좌는 계속 만기 연장을 하실 수 있습니다.
증권사마다 지금 설정되어 있는 것은 조금씩 다르지만 2050년까지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고, 가입한 다음에 80살까지 할 수 있는 경우도 있고, 만기를 본인이 설정하실 수도 있습니다.
만기가 되면 증권사에서 ISA계좌가 다른 곳으로 이전할까 봐 전화 또는 문자 등으로 연장여부를 물어봅니다.
우리가 돈을 모으고 재테크를 열심히 하는 이유는 소득이 끊기는 노후 대비를 하기 위함입니다.
은퇴 후에 자금을 어떻게 해야 할지, 나이 들고 계속 일을 하게 되면 불행하지 않을까에 대한 불안감 때문입니다.
2. 연금저축 이전 기능
두 번째로, ISA계좌는 연금저축으로 이전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연금저축 펀드, 보험도 있지만 연금저축 펀드로 투자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그렇다면 ISA계좌와 연금저축계좌의 차이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2-1. ISA계좌 장점
첫 번째로 다양한 금융상품을 넣을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기본형은 200만 원, 서민형은 400만 원으로 비과세 혜택도 있습니다.
세 번째로 초과수익에 대해서도 기본 은행 적금, 예금 상품은 15.4% 과세인데 비해 9.9%의 저율과세가 적용됩니다.
네 번째로 의무가입 3년 이후에 자유롭게 해지가 가능합니다.
다섯 번째로 가입한 후 3년 내에도 본인이 넣은 원금에 대해서는 이체에 대한 불이익이 없습니다.
2-2. ISA계좌 단점
첫 번째로 3년 동안 돈을 묶어두어야 합니다.
두 번째로 중도해지 했을 경우 공제된 세금을 반환할 의무가 있습니다.
2-3. 연금저축계좌의 장점
첫 번째로 세액공제 혜택이 400만 원, 나이에 따라 600만 원까지 가능합니다.
두 번째로 노후에 연금형식으로 수령이 가능합니다.
세 번째로 연금저축계좌 내에서 투자로 난 수익에 대해서는 비과세가 적용됩니다.
2-4. 연금저축계좌의 단점
첫 번째로 ISA계좌와 마찬가지로 중도해지 했을 경우 공제된 세금을 반환할 의무가 있습니다.
두 번째로 운용수익에 대해 16.5%의 기타 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세 번째로 55세까지는 계좌를 유지할 의무가 있습니다.
네 번째로 55세 이후 연금 수령 시에도 3.5%의 연금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이렇게 ISA계좌와 연금저축계좌의 장단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세금 혜택적용 측면에서는 ISA계좌는 9.9%의 분리과세가 적용되고, 연금저축에 대하여는 3.3% ~ 5.5%가 되기 때문에 연금저축이 좀 더 유리합니다.
기간 측면에서는 ISA계좌는 3년만 유지하면 되는 반면에 연금저축은 55세까지 긴 기간 유지해야 되기 때문에 ISA계좌가 좀 더 유리합니다.
따라서 연금을 준비하는 것이라면 ISA계좌에서 연금저축계좌로 이전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3. ISA계좌 재개설 가능
세 번째로 ISA계좌는 연금저축으로 이전한 다음에 재개설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ISA계좌에서 또 돈을 모을 수 있기 때문에 1억을 ISA계좌에서 만들고 난 후에 연금저축으로 이전하는 것을 반복하면 계속 세금혜택을 받으면서 연금을 쌓아나아 갈 수 있는 것입니다.
4. ISA계좌 절세 최대화 하는 방법
네 번째로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ISA계좌를 연금저축으로 이전하면 발생하는 장점으로 전환하는 금액의 10%인 300만 원까지는 세액공제 혜택이 적용됩니다.
연봉 5,500만 원 이하의 경우, 최대 495,000원까지 그리고 연봉 5,500만 원 초과의 경우, 최대 395,000원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연금계좌에 납입하는 금액이 연금저축펀드와 IRP 합쳐서 1년에 1,800만 원까지 납입한도 제한이 있습니다.
그러나 ISA계좌를 연금저축으로 이전하는 방법은 유일하게 1,800만 원 이상을 넣을 수 있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연금 자산을 늘리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5. 결론
첫 번째로 ISA계좌를 활용하여 목돈을 만듭니다. 이로 인해 비과세 혜택, 세액공제( 기본형 200만 원, 서민형 400만 원)를 활용합니다.
두 번째로 ISA계좌를 잘 활용하여 목돈을 잘 굴립니다. 비과세 혜택과 저율과세(9.9%)를 활용합니다.
세 번째로 연금저축 펀드로 이전합니다.
네 번째는 첫 번째에서 세 번째 방법을 반복하여 효율적인 돈 불리기가 가능합니다.
이처럼 여러 가지 절세혜택이 있기 때문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 월세지원금 240만원 받기 신청방법 (0) | 2024.03.03 |
---|---|
소상공인, 자영업자 대출이자 최대 300만원 환급 신청방법 (0) | 2024.02.29 |
교통호재 집값이 GTX개통과 동시에 무너진다 (1) | 2024.02.27 |
삼성전자의 위기, 한국경제 반도체 시장을 뒤흔든다 (1) | 2024.02.25 |
스트레스 DSR, 26일부터 대출 중단 (1) | 2024.02.24 |